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재테크 영상 리뷰] 이상신호 보이는 부동산 시장, 전월세 시장 이렇게 바뀌고 있다 (홍춘욱)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CvkJ-ef9FBU

 

이상신호 보이는 부동산 시장, 전월세 시장 이렇게 바뀌고 있다 (홍춘욱)

 


연일 금리인상 관련된 기사가 발표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동산 전월세 시장에 변동이 있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미국 금리인상 시작 초기에만 해도 금리인상과 집값 하락은 관련이 없다!라는 주장도 간혹 들려왔는데 

이번 영상에서는 금리인상과 부동산 시장 하락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그 하락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영상 같아서 박제한다.

 


 

1. 앞으로 부동산 시장의 미래는?

 

 - 부동산 시장의 사이클은 공급이 좌지우지한다. 

최근 둔춘주공 같은 경우 부동산 PF 대출 금리가 12%로 나왔다. 이럴 경우 재건축 등 건축 사업장에서 관리처분 인가만 받고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 즉 금리로 인해 앞으로 원활한 공급은 더더욱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공급이 없을 경우 부동산 조정은 짧고 굵게 나타날 확률이 높다. 이는 밀린 미분양 물량이 없기 때문이다. 

(입주가 끊임없이 연기된다.)

 

 - 이전에 장기화된 부동산 하락장의 경우 20만 호 이상의 미분양 주택들이 쌓여있었는데, 이번 하락장에서는 2만 호 정도밖에 안 되는 미분양 주택이 있다.

 

 - 금리는 불황을 만드는 요인, 공급은 회복을 만드는 요인으로 해석하면 된다. 

 

 - 현재 나타나고 있는 미분양은 마찰적 수준의 미분양이다. 자연스럽게 미분양이 나타나며 가격의 조정들이 유연하게 발생해야 한다.

 


2. 부동산 하락장의 끝은 언제일까?

 

 

 - 이번 부동산 하락장의 두 가지 큰 이유는 첫번째, 전국 아파트 가격이 30.1% 올랐다. 즉 갭투자 수요 등으로 인해 아파트 값에 과도한 버블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 두번째, 보금자리론 금리가 작년 3% 올해는 대략 6%가량으로 금리가 올랐다. 금리 상승으로 월세가 전세보다 더 저렴해지기 

때문에 전세가 나갈 수가 없다. 

 

 - 갭투자한 사람들의 경우, 본인의 전세자금 대출 금리도 올라가고 있고 세입자도 전세금액의 인하를 요구하거나 월세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증금 마련의 일환으로 급매물 출현이 발생하고 있다. 

 

 - 부동산 하락장의 끝은 최소 금리가 동결이라도 되야한다. 하지만 미국 연준에서는 최소 내년 상반기 까지는 금리 인상의 기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 까지는 부동산 하락장의 끝은 보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은 사실상 누구도 맞출 순 없겠지만 최소한 현재 시장은 이해하고 공부하고 있어야 할 것 같다.

파이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