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mf34LZCEkxk
부동산 규제 확 풀어도 집값 하락 멈추지 않는 이유 (이현철)
정부에서 계속해서 부동산 정책에 대한 규제 완화 카드를 꺼내고 있다.
1년 전만 해도 규제지역 해제, 대출 규제 완화 등의 이슈에 대해 시장에서 크게 반응을 했었는데
최근에는 이렇다 할 시장의 변화가 안 보이는 듯하다.
이에 대해 이현철 소장이 현재 시장에 대해 분석한 유튜브 영상이다.
1. 규제 해제에도 변화가 없는 이유는?
- 과거 윤석열 정부 초에만 해도 규제 지역 해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높았으나, 최근에는 규제 지역 해제에 대한 기대치가 낮아지면서
관심도가 급 하락하고 있다.
- 매수자들이 매수 의지가 있을때 규제 해제를 해야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규제를 해제해도 금리, 심리 등의 이유로 매수 의지가 다들 없는 상태이다
- 현재 정부에서 규제를 해제하는 목적은 부동산 시장이 너무 빠르게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정부는 부동산 시장이 연착륙하기를 바라나 경 착률 기조가 보이고 있어를 완화하기 위해서이다.
- 정부가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하락을 두려워하는 첫번째 이유는 부동산에 들어가 있는 부동산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치인 현재 상황에서 가계 부도는 다른 부분에서의 연쇄적인 부도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정부가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하락을 두려워하는 두번째 이유는 현재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미분양' 사태이다. 정부 입장에서 주택시장의 미분양은 특히나 위험한 부분이다. 이로 인해 건설사들의 연쇄부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우리나라 경제의 전체적인 위기가 될 수 있다.
- 하지만, 정부는 현재까지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는 해제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정부가 다주택자들을 투기 심리가 있다고 판단하고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해제 시 집값 상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예상된다.
2. 부동산 집값을 움직이는 요소는?
- 부동산 집값을 움직이는 요소는 크게 4가지 대중심리, 전세, 분양, 정책이다.
- 집값을 움직이는 1차 요인은 대중심리이다. 자산시장은 심리로 결정이 되고, 이 대중심리는 사람의 욕심에 의해 만들어진다.
대중심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변 분위기만 보아도 알 수 있다.
- 대중심리에 변화를 주는것은 정책이다. 정부의 정책들이 계속해서 쌓이다 보면 어느 순간 이 심리가 전환이 되고 이렇게 전환된 심리를 가속화하는 것이 미분양이다. 이 미분양은 하락장을 공고화 시켜 준다.
- 금리는 2차 요인이다. 금리는 지금의 하락을 가속화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금리는 부수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금리에 의해 집값 하락, 상승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기보다는 금리와 집값의 방향이 일치할 시에 집값의 움직임을 가속화하는 역할을 한다.
3. 하락장을 처음 겪고 힘든 분들에게
- 지금과 같은 하락장에도 잠시 반등이 나올때가 있는데, 이는 정부가 극심한 규제를 해제할 때이다. 이럴 경우 잠시 매수심리가 살아날 수 있는데 그때가 매도 타이밍이 될 수 있다.
- 이러한 반등이 나올때 매도자가 매물을 거두어들이고 호가를 올릴 확률이 높은데 이러한 경우 매수자가 매도자를 따라가지 못해서 다시 한번 분위기 단절이 나타나며 매수세가 다시 가라앉을 것
다른 부동산 전문가들보다 유독 심리에 대해 강조하는분 인 것 같다.
부동산 시장에서의 대중 심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한번 생각해 볼 만한 영상이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완화 합리화 방안 발표 총정리 (비중 조정, 절차 완화 등) (1) | 2022.12.12 |
---|---|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총정리 (자격요건, 대출한도, 금리 등) (0) | 2022.12.09 |
[재테크 영상 리뷰] 부차 1천명을 만나고 알게 된 "자본주의 성공 방정식 3단계" (김작가) (0) | 2022.11.28 |
[재테크 영상 리뷰] 인구 절벽 달리는 한국, 이대로 가면 어떤 일이? (전영수) (0) | 2022.11.24 |
[아파트 분석] 부천 미리내 동성 아파트 (경기도 6억 이하 아파트 분석) (0) | 202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