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서울 노후 택지 재건축 신호탄! 가양·등촌·신내 지구 정비 추진

반응형

서울 노후 택지 재건축 신호탄! 가양, 등촌, 신내 지구 정비 추진

서울시가 강서구 가양·등촌, 중랑구 신내 택지지구의 재건축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에 나선다. 이 지역들은 1990년대 조성된 택지로, 준공 후 30년이 지나며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상태다.

특히, 이들 지역에 ‘노후계획도시특별법’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도 검토될 예정이라 투자자와 주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왜 추진되나?

서울시는 조만간 가양·등촌, 신내 택지지구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및 기본계획’ 관련 연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 대상 지역

  • 강서구 가양·등촌 택지지구: 가양1·2·3동, 등촌3동 일대 (1.7㎢ 규모)
    • 1996년 지구단위계획 수립
  • 중랑구 신내 택지지구: 묵1동, 신내2동, 상봉1동 일대 (1㎢ 규모)
    • 1998년 조성

이들 지역은 1990년대 후반 조성된 택지로, 이미 재건축 연한(30년)을 넘겼음에도 본격적인 정비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 이유는?

  • 기존 1980년대 택지보다 용적률이 다소 높아 재건축 추진이 어려움
  • 특별법 적용 여부가 불확실해 사업성이 확정되지 않음

이에 따라, 서울시는 정비 기준을 마련하고 공간 구성을 재편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 노후계획도시특별법 적용 가능성은?

이들 택지지구가 ‘노후계획도시특별법’(이하 특별법)의 적용 대상이 될지 여부도 이번 연구용역에서 함께 검토된다.

✔️ 특별법 적용 시 혜택
1️⃣ 용적률 법적 상한의 1.5배까지 상향 가능
2️⃣ 재건축 안전진단 면제 가능

📌 현재 특별법 적용 가능성이 있는 서울 내 택지지구는 총 11곳으로, 규모 100만㎡ 이상이면서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지역이 대상이다.

💡 하지만, 가양·등촌·신내 택지에 특별법이 적용될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도 있다.


🔹 특별법 적용이 어려운 이유

1️⃣ 1기 신도시 중심 법안 → 서울 내 적용 난관

  • 특별법은 원래 일산, 평촌, 산본 등 1기 신도시 재정비를 목적으로 제정됨
  • 서울은 이주 대책 마련이 어렵고, 법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

2️⃣ 기반시설(인프라) 문제

  • 특별법 적용 시 ‘기준 용적률’을 산정해야 하나, 서울은 상하수도·교통망 등 기반시설을 도시 전체가 공유하고 있어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기 어려움

3️⃣ 지구단위계획 정비를 통한 재건축이 더 유력

  • 기존 개포·목동 등 서울 주요 택지들은 특별법 없이 지구단위계획을 정비해 재건축을 추진한 사례가 많음
  • 서울시는 특별법보다 지구단위계획 정비를 통해 재건축을 진행할 가능성이 큼

🔹 재건축 추진 가능성 높은 지역은?

📍 가양·등촌지구 (약 2만9000가구)

  • 한강과 접한 입지적 장점
  • 지하철 9호선 개통으로 강남 접근성이 향상
  • 개발이 본격화하면 강서구 일대 재건축 시장이 활기를 띨 가능성

📍 신내지구 (약 1만1000가구)

  • 아직 재건축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지만, 지구단위계획 정비가 진행되면 사업성이 높아질 가능성

🔹 결론: 가양·등촌·신내 재건축, 어떻게 진행될까?

✔️ 서울시는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추진하며, 특별법 적용 가능성도 함께 검토
✔️ 다만, 특별법 적용보다는 기존 방식(지구단위계획 정비)을 통한 재건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큼
✔️ 가양·등촌은 입지적 장점으로 인해 재건축 추진 속도가 빠를 가능성이 높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