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2025년 출산지원금 및 각종수당 총정리하기! (육아휴직, 지원금, 주거, 교통비 등등)

반응형

2025년 출산지원금 및 각종수당 총정리하기! (출산혜택, 육아휴직, 지원금, 주거, 교통비 등등)


어느새 내년이면 나도 부모가 된다..!!

올해 새 생명이 찾아오면서 새로운 세상과 마주하게 된 것 같은데

특히, 생각보다 다양한 출산 관련된 제도들과 지원금들이 있다는 것들이었다.

 

근데 이게 너무 방대하고 다양하고 또 지역별로도 조금씩 상이하기 때문에

(아마 각종 지원금과 정책을 집행하는 부처들이 상이하기 때문일지도)

나도 그걸 한번에 찾아보는게 너무나도 힘들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새해와 출산의 해를 맞이하여 다시 한번 나 스스로

2025년에는 출산과 관련된 어떠한 지원금과 수당이 있는지 찾아보려고 한다.


1. 육아휴직 제도 개선

  • 육아휴직 기간 연장: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각 부모당 최대 1년, 총 2년까지 사용 가능했던 기존 제도가 개선되어,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사용 시 총 1년 6개월까지 연장
  • 육아휴직 급여 인상: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부모 각각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

2.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휴가 기간 연장: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이 기존 10일에서 20일로 확대
  • 분할 사용 가능: 최대 4번에 나누어 사용할 수 있어, 가족의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활용 가능

3.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 대상 확대: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의 임신 근로자뿐만 아니라, 고위험 임신부의 경우 임신 전 기간 동안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대상 연령 확대: 자녀의 나이가 **12세(초등학교 6학년)**까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대상이 확대 

5. 출산지원금 및 수당

  • 첫만남 이용권: 출생 순위에 따라 지원금이 차등 지급
    • 첫째 아이: 200만 원
    • 둘째 아이 이상: 300만 원
  • 부모급여: 0세부터 1세까지의 영유아를 둔 부모에게 월별로 지원
    • 0~11개월: 월 100만 원
    • 12~23개월: 월 50만 원
  • 양육수당: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경우,
    • 24개월~만 5세: 월 10만 원
  • 아동수당: 모든 가정에 동일하게 지원
    • 만 0세~만 7세: 월 10만 원

 

6. 주거 및 생활 지원

  •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서울시의 경우, 무주택 가구에 자녀 출산 시 주거비를 지원
    • 0개월~24개월: 월 30만 원 (총 720만 원)
  • 전기요금 감면: 출생 후 3년간 전기요금의 **30%**를 감면받을 수 있으며, 월 최대 16,000원까지 혜택이 제공

7. 교통비 지원

  • 서울시: 임산부 1인당 교통비 70만 원 지원
  • 경기도: 임산부 1인당 교통비 100만 원 지원 (연천, 가평, 양평, 안성, 포천, 여주)
  • 인천시: 임산부 1인당 교통비 50만 원 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