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핵심요약

오늘의 경제뉴스 핵심 요약 (23년 6월 22일)

반응형

오늘의 경제뉴스 핵심 요약 (23년 6월 22일)


  • 전셋값 급락에 '시한폭탄 24조'... 역전세 갈수록 태산
  • 45조 적자 한전, 요르단 발전소 매각 추진... 3분기 전기료는 동결
  • 빚 못 갚고, 적금도 깬다... '부실 20대' 급증
  • 본청약 포기 속출... 사전청약 '무용지물'

1. 전셋값 급락에 '시한폭탄 24조'... 역전세 갈수록 태산

(출처 : 매일경제)

기사 요약

  • 한국의 주택 시장은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가지 상황에 직면해 있다. 한국은행이 역전세 사태와 미분양 주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리스크 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 집값 하락세가 지속되면 상당수 가구가 보증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면서 건설사들의 자금 안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택시장의 부진은 부동산 PF 대출 부실로 직결되고 이 비율은 저축은행이 타 금융기관보다 높다.
  • 주택시장 침체는 평균 가계자산이 줄고 고위험 가구가 늘어나는 등 가계의 재무상태에도 영향을 미쳤다. 금융 취약성 지수(FVI)가 상승해 금융 불균형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자영업자 대출이 급증하면서 일시상환 대출에 따른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2. 45조 적자 한전, 요르단 발전소 매각 추진... 3분기 전기료는 동결

(출처 : 매일경제)

기사요약

  • 45조 원의 적자를 보고 있는 한전이 해외 사업 구조조정을 위해 자산을 판매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한전은 요르단 가스 복합과풍력발전 사업 자산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한전의 고강도 재정건전화 계획의 일환이다.
  • 한전은 올해 3분기 연료비조정단가가 현재와 같은 1kwh 당 5원으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나머지 요금은 조정되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동결됐다. 
  • 한전이 발전사들로부터 사오는 전력도매가격(SMP)은 최근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정동욱 중앙대 교수는 최근 유가도 안정화돼 하반기 한전의 적자 요인은 상당히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3.  빚 못 갚고, 적금도 깬다... '부실 20대' 급증

(출처 : 매일경제)

기사요약

  • 한국의 20대 청년층들이 저소득, 저신용자들을 위해 고안된 정부 대출 상품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민전용대출을 갚지 못해 대위변제를 받은 비율도 20대가 가장 높았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고용난과 고금리와 경기둔화에 취약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 청년층의 대위변제율 상승과 관련한 가계부채 리스크 증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서민전용상품은 시중은행보다 최근 연체율이 상승세인 지방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 인터넷은행 등이 적극적으로 취급하고 있어 이들 은행의 건전성 관리가 우려된다.
  • 또한 청년 세대의 자금 여력 확보를 위해 마련된 청년희망적금을 중도해지한 사람이 최초 가입자의 24%에 달했다. 그리고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는 2019년 대비 작년 말 기준 저축 은행의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20,30대의 증가폭이 51.6%로 가장 컸다.

4. 본청약 포기 속출... 사전청약 '무용지물'

 

기사요약

  • 올해 들어 본청약 지연과 분양가 상승 등으로 민간 단지에 사전 청약한 아파트를 포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시장 상황 악화로 사전 청약 당첨자들이 대거 발을 빼고 있는 것이다. 
  • 검단 호반써밋V는 기존 사전청약 당첨자 771명 중 470명이 분양을 포기했다. 이외 사전청약을 진행한 다른 단지들도 50% 이상의 비율이 분양 포기 의사를 밝혔다. 
  • 분양 포기 비율이 높았던 대부분의 단지들이 사전청약 당시 예고된 본청약 시기보다 지연된 단지인데 본청약 시점이 늦춰지며 분양가격도 올랐다. 검단 호반써밋 V는 본청약이 9개월 지연되며 분양가는 3385만 원 증가했다.
  • 부동산 전문가는 본청약 시점이 지연되는 동안 집값이 하락하며 당첨자들이 기존 주택을 매수하거나 분양가격이 정해진 다른 분양단지로 대거 선회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