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대비..연금저축펀드 만들기 !(장점,단점?,투자 추천)
매년 연말쯤 되면 과업처럼 느껴지는 연말정산을 하게된다.
나는 입사하자마자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했었고, 몇년전부터는 주택담보대출 대출금까지 납입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저런 세액공제 혜택을 비교적 누리고 있으나
아내같은 경우에는 연금 저축 계좌도 없고 소비도 거의 내 카드로만 하는 상황으로
매년 세액공제 혜택 없이 성실히 세금을 납부하고 있다.
게다가 주식투자도 일원화 해서 내 계좌로 진행하고 있으니
직접 투자하면서 수익률에 대한 재미와 연금의 든든함까지 동시에 가져가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연금저축펀드를 개설해야겠다고 생각됬다.
1. 연금저축펀드 장점?
● 세액공제
연금저축펀드의 가장 큰 장점은 당연히 세액공제가 아닐까?
연봉 5500만원 이하로는 세액공제율 16.5%, 연봉 5500만원 초과하면 13.2%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다.
세액공제 한도는 600만원으로 각각의 연봉 구간별로 최대 세액공제 혜택은 각각 99만원, 79만2천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다르겠지만 일단 이정도 금액이 확정수익이라고 나는 생각을 했고 가장 세액공제 + 확정수익이라니 너무 좋은데?
라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었다.
● 과세이연, 저율과세
연금저축펀드의 두번째 장점으로는 과세이연과 저율과세!
과세이연, 말 그대로 과세를 미뤄준다는 의미인데 즉 내야할 세금을 최대한 나중에 내도록 미뤄준다는 내용이다.
이렇게 된다면 당연히 바로바로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에 현재 금액에 대한 복리 효과가 더 가중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뿐만 아니라 저율과세도 적용되는데 연금을 수령하는 시점에서 3.3% ~ 5.5% 정도의 세금만 부과된다.
2. 연금저축펀드 단점?
● 출금이 불가능하다!
연금저축펀드의 단점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은 당연히 현재 내가 입금한 금액이나 수익금에대해
바로바로 출금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입금만되고 출금은 불가능해서 어떻게 생각하면 나의 목돈이
연금 수령시기인 55세까지는 계속해서 묶여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근데 어찌보면 이런 부분도 어느정도 장기투자에 대한 강제성을 갖게된다는 점에서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도 했다.
당연히 중도해지가 가능하긴 하지만 16.5%에 해당하는 세액을 토해내야하니 중도해지는 생각하지 않는게 나을 것 같다.
3. 그럼 어떤걸 투자할까?
사실 그다지 큰 고민도 안한 부분
당연히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투자해야한다고 생각헀다.
여러가지 ETF도 있고 하겠지만 그래도 장기적으로 높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여주는 지수 아닐까 싶고
안정성도 여타 투자에 비해 높다고 생각했다.
그냥 안전하고 속편하게 장기투자하기 좋지 않을까?
저축 여력이 되고 큰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연금저축펀드를 꾸준하게 적립식으로 투자하는건
장기적으로 굉장히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여러가지 세금혜택이 너무 좋고
투자처만 잘 잡는다면 자본주의의 성장이라는 미래에 나도 강제적인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내 명의의 계좌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아직 만들지는 못했지만
만들면서 투자까지 한번 진행해봐야겠다..! 화이팅!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고민... DB형? DC형? 내 선택은.. (1) | 2024.12.23 |
---|---|
연말정산 대비! 신용카드 소득공제 팁! (2) | 2024.12.09 |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총정리 (0) | 2023.05.06 |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만기금액 총정리 (0) | 2023.05.05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소득, 조건, 혜택 총정리 (1)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