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혜택, 만기금액, 장단점 총정리
23년 3월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한 청년도약계좌의 신청기간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최근 은행 금리가 떨어지기 시작하며 이와 같이 큰 혜택을 주는 상품을 찾아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주식, 부동산 등 마땅히 자금을 비교적 안전하게 굴릴 수 있는 수단들도 많이 줄어드는 상황이라 나라에서 보장하는 이러한 상품들이 더 눈에 들어오는 게 아닌가 한다.
1. 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인가?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금융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상품으로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는 상품이다.
2022년도에 운영되었던 청년희망적금의 2023년도 버전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편하다.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게 되면 정부에서 매칭해주는 금액과 은행의 금리, 비과세 혜택 등을 더해 만기에는 목독을 모으게 만들어주는 상품이라고 보면 된다. 게다가 다른 청년 지원 상품들과 연계가 되는 상품이니 여러 가지 쏠쏠한 혜택들을 챙길 수 있다.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대상 | 만 19 ~ 34세 청년 | 동일 |
소득기준 |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
총급여액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납입조건 | 5년, 최대 월 70만원 납입 (만기시 최대 5000만원) |
2년, 최대 월 50만원 납입 (만기 시 최대 1300만원) |
정부 기여금 매칭 | 납입 금의 3~6% | 1년차 2%, 2년차 4% |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비슷하지만 다른점도 많이 있다. 일단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가입조건이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인 반면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그 기준을 완화하여 가입대상이 더 많다는 장점이 있다. 그 밖에도 만기가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청년도약계좌가 3년이나 더 길다. 두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이 있다는 점은 같다.
2.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신청조건
● 청년도약계좌 연령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34세의 청년만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다. 다만,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미산입 하게 된다.
● 청년도약계좌 소득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한 소득 조건은 우선 개인일 경우 개인소득 기준 연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기준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를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하다. 다만,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외된다.
3. 청년도약계좌 혜택, 정부지원금
●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금 기여금 매칭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자는 본인의 개인소득과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는 개인소득에 따라 구간을 세세하게 나누어 세밀한 지원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 기여금 지급한도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 |
2,400만원 이하 | 40만원 | 6%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3% | 2.1만원 |
7,500만원 이하 | - | - | - |
정부 기여금은 총급여 기준으로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이상일 경우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없다. 또한, 금리의 경우 가입 후 3년 간은 고정 금리로 적용이 되지만 이후 2년은 변동금리로 적용이 된다.
● 청년도약계좌 혜택, 만기금액은?
청년도약계좌의 최종 만기 수령액은 본인의 납입금액과 정부 기여금, 경과 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이 된다. 게다가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상품이다.
그렇다면 만기금액은 어떻게 될까? 만약, 개인소득이 3600만 원 이하인 가입자가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한다고 가정한다면
본인저축 총액 4200만원 + 정부기여금 138만 원 (4.6% 매칭 한도 2.3만 원) + 은행금리 약 441만 원 (연 4% 가정, 비과세) = 약 4779만 원이다.
일반적인 적금의 경우 만기시 15.4%의 이자소득세가 과세된다. 금리의 경우 일반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니 시중은행 상품보다는 훨씬 더 유리한 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
4.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신청방법
●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2023년 6월 중에 가입신청을 시작하여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받게 된다.
금융위원회 보도자료를 찾아보아도 아직 구체적인 신청기간 일정에 대해서는 안내되어있지 않다. 추후 정보가 추가되면 업데이트하도록 하겠다.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은?
취급기관의 어플을 활용하여 비대면으로 매월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심사를 병행한다.
5.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개인사정으로 중도해지하게 된다면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하지만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한다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는데 특별중도해지 사유에는 아래 6가지가 있다.
1.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2. 가입자의 퇴직
3. 사업장의 폐업
4. 천재지변
5.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6. 생애최초 주택구입
아직 상품에 대한 완전한 안내와 정보가 부족한 상황인 것 같다. 추후 금융위원회의 추가적인 발표를 확인 후에 보완해서 업데이트 하도록 해야겠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대비..연금저축펀드 만들기 !(장점,단점?,투자 추천) (2) | 2024.12.07 |
---|---|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총정리 (0) | 2023.05.06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소득, 조건, 혜택 총정리 (1) | 2023.04.29 |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지급일, 조건, 자격, 금액 총정리 (0) | 2023.04.26 |
아파트 동대표 월급, 하는일, 혜택, 선거 공약, 출마조건 총정리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