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 4.5일제’ 정부 로드맵 착수…근로시간 줄이고, 삶의 질 올린다
✅ 1. 무엇이 발표됐나? (WHAT)
고용노동부는 6월 19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주 4.5일 근무제’ 단계적 도입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 공약 중 하나로, 현재 주 5일제보다 하루의 절반을 줄여 연평균 근로시간을 2030년까지 1,717시간으로 줄이는 게 목표입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하반기 중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법(가칭)’을 입법 예고하고, 공짜노동 근절, 유연근무 확대 등 전반적인 노동시장 개편에 나설 계획입니다.
💡 2. 왜 추진하는가? (WHY)
📌 한국은 여전히 노동시간 최상위 국가
2024년 기준 한국의 평균 연간 노동시간은 1,859시간, 여전히 OECD 최상위권입니다.
생산성에 비해 과도한 노동시간 구조는 삶의 질 하락, 출산율 저하, 청년 이탈 등의 원인이 됩니다.
📌 고령화·산업 구조 변화 대응 필요
-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정년 논의
- AI·에너지 전환으로 인한 직업 재편
-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를 위한 ‘공짜노동 근절’ 과제
🛠️ 3. 구체적 방안은? (HOW)
✅ 법정근로시간 단축 검토
- 현행 주 52시간(40시간 기본 + 12시간 연장) → 48시간으로 축소 가능성
- 근로시간 법 개정과 병행한 현실적 방안 마련
✅ 유연한 시간 단축도 병행
- 연차휴가 촉진제도 강화
- 시차출퇴근제, 재택근무 확대 등 제도적 보완책도 고려
✅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법’ 도입
- 노동시간 단축 기업에 지원금, 세제 혜택 부여 방안
- 공짜노동(무급 연장, 주말 근무 등) 근절 대책 포함
✅ 기타 병행 과제
- 정년 연장 논의: 재고용 아닌 법적 정년 상향 검토
- ‘노란봉투법’ 대안 입법: 연내 입법 마무리 목표
- 직업훈련 개편: 신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 포함
🧠 4. 우리는 무엇을 고민해야 하나? (THINK)
이번 ‘주 4.5일제’ 추진은 단순히 ‘쉬는 날이 늘어난다’는 차원이 아닙니다.
이는 노동시장 구조, 고용 패러다임, 기업 생산성까지 아우르는 중장기적 시스템 변화입니다.
- 노동시간을 줄이되, 임금은 정당하게
- 고령사회에 맞는 정년제 개편
- 저출산·저성장 시대의 지속 가능한 노동 정책
지금이 바로, **“일하는 사람이 주인공인 나라”**를 만들기 위한 전환점입니다.
📌 핵심 요약
- 주 4.5일제 도입 위한 정부 로드맵 시작
- 법정근로시간 52시간 → 48시간 축소 검토
-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법’ 도입 예고
- 공짜노동 근절, 정년 연장, 노동시장 유연화까지 포괄 계획
- 핵심은 삶의 질 +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개편
반응형
'경제뉴스 핵심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 부동산 거래에 서울시가 칼을 뺐다 (1) | 2025.06.16 |
---|---|
6월 10일 경제요약: 경상수지·글로벌 협상·인플레·금리·금값까지 (4) | 2025.06.10 |
오늘의 핵심 경제뉴스 (25년 02월 27일) (0) | 2025.02.27 |
오늘의 핵심 경제뉴스 (25년 02월 26일) (0) | 2025.02.26 |
오늘의 핵심 경제뉴스 (25년 02월 24일)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