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지방은행 연체율 ‘1% 돌파’… 대손충당금은 사상 최대

반응형

지방은행 연체율 ‘1% 돌파’… 대손충당금은 사상 최대

“지방경제 침체, 금융권 위기로 번진다”


1. 연체율·충당금, 지방은행의 ‘경고등’이 켜지다

2024년 1분기, 지방은행들의 건전성 지표가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BNK부산·BNK경남·전북·광주은행, iM뱅크 등 5대 지방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잔액이 2조2551억 원을 기록하며
2020년 대비 두 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 대손충당금이란?
→ 부실 가능성에 대비해 은행이 미리 쌓아두는 손실 충당 자금


2. 연체율 ‘9년 만에 최고’… 지방기업부터 흔들린다

지방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1.04%**로
2022년(0.29%)에서 빠르게 상승하며 201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은행별 기업대출 연체율

  • 전북은행: 1.53%
  • iM뱅크: 1.32%
  • 광주은행: 0.96%
  • 경남은행: 0.70%
  • 부산은행: 0.65% (가장 낮지만, 시중은행 평균보다 높음)

📌 참고: 4대 시중은행 평균 기업대출 연체율은 0.39%

가계까지 포함한 전체 대출 연체율도 1.01%로 1%선을 넘어섰습니다.
이 말은 기업과 가계 모두 부실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3. 부실채권 쏟아진다… 매각도 한계

부실채권을 매각하며 연체율을 억제하려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1분기 동안 지방은행이 상각·매각한 부실채권 규모는 4476억 원.
이는 5년 전(952억 원) 대비 약 5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여전히 남습니다.

  • 부실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
  • 부실채권 시장 수요도 한정적이다
    → 결국 은행이 떠안게 되는 부실 리스크가 커진다는 의미입니다.

4. 경기 회복? 기대하기 어렵다

지방은행 관계자들의 목소리는 비관적입니다.
지방 경기가 회복될 가능성보다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

📉 법인파산 건수도 증가

  • 수도권 외 지방법원 법인파산 접수
    • 2019년: 257건
    • 2023년: 555건 (2배 이상)

특히 지역 기반 중소기업의 연쇄 부도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지방은행들에 대한 위기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습니다.


5. 결론: 지방은행 위기는 지방경제의 축소판

📌 대손충당금 증가
📌 연체율 급등
📌 부실채권 매각 한계

이 모든 것은 단순히 ‘은행’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경제의 위기 전조일 수 있습니다.


✏️ 정리

"지방경제가 흔들리면,
그 그림자는 금융권부터 드리워집니다."

부산·경남은행 순익 30% 감소는
단순한 실적 부진이 아닙니다.
지방 전체의 시스템 리스크 신호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