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세종·부산·대구 집값 50% 하락, 바닥은 어디인가?

반응형

세종·부산·대구 집값 50% 하락, 바닥은 어디인가?

최근 지방 부동산 시장이 전례 없는 침체에 빠졌습니다. 2020~2021년 뜨거웠던 상승세와는 대조적으로, 집값 하락·거래 절벽·경매 시장 악화가 복합적으로 얽히며 회복이 요원한 상황입니다.

특히 광역시 내 인기 지역마저 집값이 30~50% 가까이 떨어지고, 청약 시장까지 얼어붙으면서 지방 부동산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과연 이 현상이 일시적인 조정일까요, 아니면 장기적인 침체의 시작일까요?


🏠 세종·부산·광주·대전·대구·울산… 지방 핵심 지역도 ‘급락’

📌 세종시, 14억 → 6억… 3년 만에 반값 거래

세종 고속터미널과 가까워 공무원 수요가 많았던 세종 해들6단지 e편한세상 세종리버파크 전용 99㎡가 6억5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 2020년 최고가 14억 원과 비교하면 무려 57% 하락한 셈입니다.

중개업소 관계자는 "급매물이긴 하지만, 일반 매물도 8억 원대"라며 세종 지역 전반의 가격 하락세를 인정했습니다.

📌 부산 해운대, ‘더샵센텀파크’ 24억 → 16억6천… 30% 하락

부산에서도 핵심 입지로 평가받는 해운대구 더샵센텀파크(전용 151㎡)가 최근 16억6천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 2021년 24억 원에 거래되었던 것과 비교하면 약 7억 4천만 원(30%) 하락한 것입니다.

📌 광주·대전·울산도 동반 하락

✅ 광주 봉선동 ‘봉선3차 한국아델리움’(전용 84㎡)
📉 2022년 13억6천 → 2024년 8억9천 (약 34.6% 하락)

✅ 대전 둔산동 ‘녹원아파트’(전용 84㎡)
📉 2~3년 전 가격 대비 10~30% 하락

✅ 울산 남구 ‘문수로대공원에일린의뜰’(전용 84㎡)
📉 2021년 대비 30% 이상 하락

과거에는 수도권과 함께 지방 광역시가 부동산 시장을 이끌었다면, 이제는 핵심 지역조차 침체를 피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 거래 절벽과 청약 시장 붕괴… 악순환의 시작?

📊 부산의 올해 1월 주택 매매 거래량
🔻 2126건으로 전월 대비 28.2% 감소
🔻 전년 동기 대비 16.3% 감소

📊 전·월세 거래량도 동반 감소
🔻 전년 대비 21.7% 감소

일반 거래뿐 아니라 경매 시장도 심각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경매 낙찰가율 급락

 2020년 지방 5대 광역시 평균 경매 낙찰가율: 95.1%
 2021년 최고점 낙찰가율: 104.2%
 2024년 1~2월 경매 낙찰가율: 78.9%

 세종시 낙찰가율
📉 4~5년 전 120% → 현재 81.4%

낙찰가율이 급락하는 이유는 매수자들이 더욱 신중해지고 있으며, 가격이 더 떨어질 가능성을 보고 기다리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새 아파트 분양 시장도 ‘빙하기’

청약 시장도 냉각되면서 지방 분양 물량이 대폭 줄어들고 있습니다.

📉 2020년 지방 5대 광역시 청약 경쟁률: 32.11대 1
📉 2021년: 9.73대 1
📉 2023년: 2.8대 1 (대폭 하락)

🛑 올해 전국 분양 물량 중 지방 비중
✅ 2021년: 50% 이상
✅ 2024년: 36.9% (최저치 예상)

권대중 서강대 교수는 “기존 주택 시장이 무너지자 분양 시장도 급격히 위축되면서, 지방 전체적으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지방 부동산 시장 붕괴의 핵심 원인 3가지

📌 1️⃣ 인구 감소

부산, 광주, 대구, 울산, 대전 모두 인구 감소세
✅ 부산: 2만7073명 감소 (광역시 중 최다 감소)
✅ 광주: 1만1144명 감소
✅ 대구: 1만563명 감소

이제는 지방 광역시도 인구 감소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으며, 주택 수요 자체가 줄어드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2️⃣ 산업 구조 변화 & 일자리 부족

수도권에 비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부족하고, 젊은층의 일자리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부동산 수요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 3️⃣ 금리 인상과 대출 부담

 금리 상승으로 대출 부담 증가 → 주택 매수 심리 위축
 집값 하락 예상 심리 확산 → 매수 대기자 증가


🚨 지방 부동산, 회복 가능할까?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지방 부동산 침체는 단순한 경기 사이클이 아니라 인구와 산업 문제와 연결된 구조적 문제”라며 단기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나 지방 부동산 시장이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신호가 언제 나타날지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 여부
 금리 인하 시점
 지방 주요 도시의 개발 및 경제 성장 가능성

이런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