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다주택자 종부세 중과 폐지 추진… 배경과 영향 분석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개편이 다시 논의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이 추진하는 이번 개편안의 핵심은 다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중과세율 폐지입니다. 기존에는 주택을 여러 채 보유할수록 세금 부담이 커지는 구조였지만, 이를 완화해 가액 기준 과세로 전환하려는 것이 골자입니다.
과거 2018년 이전에는 주택 수와 관계없이 종부세율이 과세표준(과표) 기준으로만 적용되었습니다. 그러나 2019년부터 2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중과세율이 도입되면서 다주택자의 세 부담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번 개편이 시행될 경우, 다시 2018년 이전 체제로 회귀하는 셈입니다.
📌 왜 종부세 중과 폐지를 추진할까?
1️⃣ 징벌적 과세 완화
정부는 다주택자에 대한 차별적 세금 부과를 없애고, 납세자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입장입니다. 다주택자가 반드시 투기 목적이 아닌 경우도 많고, 세금 부담이 지나치게 커지면서 주택 공급 위축 및 시장 왜곡이 발생했다는 점이 주요 이유로 꼽힙니다.
2️⃣ 세수 감소 최소화
종부세 개편이 전체적인 세수(稅收)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정부는 이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종부세 총 세수: 5조 원
- 그중 주택분 종부세: 1조 6,000억 원 (약 32%)
- 다주택자가 부담한 세금: 4,655억 원 (약 29%)
즉,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가 되더라도 전체적인 세수 감소는 크지 않다는 점이 고려된 것입니다.
3️⃣ ‘똘똘한 한 채’ 집중 완화 & 지방 부동산 활성화
그동안 종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다주택자들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등의 '똘똘한 한 채' 전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 다주택 보유 시 세금 부담이 크기 때문에 집을 팔고 강남권 고가 아파트 1채를 보유하는 전략이 확산됨
- 이에 따라 강남권 아파트값은 상승하고, 지방 부동산 시장은 침체
이번 종부세 개편이 시행되면 다주택 보유 부담이 줄어들어 지방 부동산 시장에도 활기가 돌 것으로 기대됩니다.
📌 종부세 중과 폐지 후 예상되는 변화
✅ 다주택자들의 주택 보유 부담이 줄어들어 매물 잠김 현상이 완화될 가능성
✅ 부동산 투자 패턴이 ‘똘똘한 한 채’에서 다주택 보유 전략으로 변화할 가능성
✅ 임대주택 공급 증가로 전·월세 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도 있음
✅ 강남권 고가 주택의 가격 상승세가 다소 둔화될 가능성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단순히 종부세 개편만으로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고 분석합니다.
📌 종부세 개편, 한계는 없을까?
🔸 취득세·양도세와 함께 개편해야 효과 극대화
현재 부동산 투자자들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세금은 취득세입니다.
- 종부세 완화만으로는 지방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한계가 있음
- 다주택자들은 취득세·양도세 부담이 크면 여전히 신규 투자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음
📢 전문가 의견:
- “종부세 중과 폐지가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 (우병탁 신한은행 전문위원)
- “부동산 취득부터 보유, 양도에 이르는 전반적인 조세 감면이 필요하다” (정 연구위원)
📌 결론: 다주택자 종부세 중과 폐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다주택자의 세 부담 완화 → 임대주택 공급 증가 기대
✔ ‘똘똘한 한 채’ 선호 완화 → 강남 고가 아파트 집중 현상 완화
✔ 세수 감소는 크지 않을 전망 → 지방 재정 타격은 제한적
✔ 취득세·양도세 개편 병행 필요 → 시장 활성화 효과 극대화
✅ 종부세 개편이 실제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취득세·양도세 개편 여부에 따라 달라질 전망입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청약 절차와 주의할 점 완벽 가이드 (0) | 2025.03.13 |
---|---|
미국 2월 CPI 예상치 하회! 증시 영향과 투자 전략은? (1) | 2025.03.12 |
분양권 거래 완벽 가이드 절차·장단점·주의사항 총정리! (1) | 2025.03.12 |
세종·부산·대구 집값 50% 하락, 바닥은 어디인가? (0) | 2025.03.11 |
ISA 투자 전략 바뀐다! 국내 주식 투자 비율 상향, 내게 득일까 실일까? (1)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