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추경 10조원 넘는다”…정부, 내수·AI·산불 대응 ‘돈 풀기’ 시동
심각한 내수 부진과 악화된 통상 환경, 그리고 연이어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당초 계획했던 10조 원보다 더 크게 편성할 전망입니다.
🔎 추경, 어디에 쓰이나?
정부가 마련 중인 추경에는 총 4대 분야가 핵심입니다.
- 통상 지원
- 용인·평택 반도체 산단 내 송전선 지중화 사업 지원
- 소재·부품·장비 산업 보조금, 리쇼어링 기업 지원 확대
- 수출 바우처 1000억 원 증액
- AI 인프라 투자
- 고성능 GPU 구매 지원
- AI 산업 육성 예산만 1조 원 후반~2조 원 예상
- 서민·소상공인 지원
- 저금리 융자
- 에너지·생필품 바우처
- 산불 피해 복구
- 경북·경남 등 최근 피해액만 1조4300억 원 이상
- 긴급 복구 및 재난지원에 대규모 예산 투입
📉 왜 지금 추경인가?
정부가 이렇게 ‘서둘러 돈을 푸는’ 이유는 단 하나, 경기 침체 위기감 때문입니다.
- 올해 경제성장률 0%대 전망 (글로벌 IB들 분석)
- 원화가치 하락 → 통화정책 여력 줄어듦
- 금리 인하 불가 → 결국 재정정책뿐
내수 부진에 수출 환경도 악화되면서, 한국 경제는 빠르게 냉각 중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로 돈을 풀기도 어렵다면?
정부는 결국 재정을 풀 수밖에 없는 구조에 처해 있는 셈입니다.
🏦 금리 인하? 아직은 ‘신중’
오는 4월 17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동결이 유력합니다.
- 원·달러 환율 1480원대
- 금리 인하 시 자본 유출 가능성
- 최근 불안했던 부동산 시장 안정화 필요성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실장은 “현재 금리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이 말은 즉, 금리는 당분간 건드릴 수 없고 재정이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뜻입니다.
🧭 결론: 정부는 ‘돈’으로 위기를 막을 수 있을까?
추경은 단기 처방이지만, 지금처럼 경제 엔진이 식고 있을 때는
가장 빠르게 체온을 높일 수 있는 수단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지속성입니다.
- 돈을 풀면 일시적인 회복은 가능하지만
- 기초체력(구조개혁, 신산업 육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위기를 ‘미루기만’ 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선택은 어쩌면 불가피한 조치일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 뒤에 오는 질문은 여전히 유효하죠.
“이 돈이, 우리 경제의 구조를 바꿀 수 있을까?”
반응형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베이스, S&P500 지수에 전격 편입! 가상자산이 전통 금융시장 중심으로? (0) | 2025.05.15 |
---|---|
10%만 있어도 집 살 수 있다고? 정부의 ‘지분형 모기지’ 실험이 시작된다 (1) | 2025.04.17 |
관세·환율 전쟁 다음은? 트럼프 행정부가 준비 중인 ‘새로운 전쟁’ (1) | 2025.04.14 |
금리 인하에도 최고 연 10% 적금 등장! 고금리 저축은행 상품 총정리 (2) | 2025.04.06 |
로버트 기요사키 "비트코인보다 은이 더 유망한 투자처!" (0) | 2025.04.05 |